React(3)
-
Redux ?
state container 이다. 컴포먼트들이 많아질 경우 state를 변화시키기 위한 props관리가 힘들어진다. 한번에 상태 변화도 가능하고 그 이력도 볼 수 있다. serialize후 서버로 전송하기가 편리해집니다. redux를 사용한다면 유지보수가 편해지고, 디버깅이 수월해진다. 또 상태예측이 가능한 직관적인 구조로 바뀐다. 리덕스에서는 state를 변경하 경우가 container, 그리고 props를 받아아서 display만 하는 컴포넌트가 presentational
2020.10.12 -
State와 Life Cycle 🍀 찬란하던 컴포먼트의 인생 🍀
state state란 props와 다르게 자식 컴포먼트로 전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객체 형태로 컴포먼트에 저장되어 연결된 컴포먼트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말합니다. 이렇게 될 경우 사용하고 가공하는 컴포먼트와 구현하는 컴포먼트가 나누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. 사용방법은 class 안에 constructor과 super를 선언하고 this.state를 쓰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. class App extends React.Component { constructor(props) { super(props); this.state={ user : '임코딩' } } render() { return (
2020.10.06 -
Reat란? 🧙🏻♂️ 상호작용이 많은 UI 만들기에 딱! 👨🏽🔬
React는 상호작용이 많은 UI를 만들 때 편리한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의 각 상태에 대한 간단한 뷰만 설계 후, 데이터가 변경됨에 따라 적절한 컴포넌트만 효율적으로 갱신하고 렌더링하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Component JSX라는 javascript의 확장된 문법을 통해서 식을 작성하고 엘리먼트들을 랜더링을 하면 컴포먼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. const name = 'Josh Perez'; const element = Hello, {name}; // HTML 태그 문법과 생김새가 비슷합니다. ReactDOM.render( element, 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 // 랜더링할 엘리먼트를 붙이고 싶은 위치를 2번째 인자로 넣어줘야합니다. ); javascript는..
2020.10.06